검색
헤드스페이스 : 명상을 디지털 콘텐츠로 만들어 4조짜리 브랜드가 되다
헤드스페이스 : 명상을 디지털 콘텐츠로 만들어 4조짜리 브랜드가 되다
마치며 : 명상은 늘 있어왔습니다 헤드스페이스는 정신 건강 기업들을 인수·합병하며 몸집을 불리고 있습니다. 2021년 10월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 정신 건강 코치를 해주는 서비스 진저Ginger와 합병하며 30억달러(약 4조원) 규모로 성장했죠. 2022년 1월에는 AI 대화를 통해 감정 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 사야나Sayana를 인수했어요. 헤드스페이스는 의료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하지만 퍼디컴은 말해요. 헤드스페이스의 일은 전혀 새로울 게 아니라고요. “우리의 성공 비결은 별게 아닙니다. 과학의 진정성일뿐이 ...
셰인 패리시 : 전직 스파이, 월가와 실리콘밸리가 구독하는 뉴스레터를 만들다
셰인 패리시 : 전직 스파이, 월가와 실리콘밸리가 구독하는 뉴스레터를 만들다
셰인 패리시는 전직 캐나다 스파이 출신으로, 현재 뉴스레터 '브레인 푸드'와 파르남 스트리트를 운영하며 유명해졌어요. 그의 뉴스레터는 60만 명이 구독 중이고 특히 월스트리트에서 인기예요. 셰인은 작은 선택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리가 일상 속에서 하는 선택이 삶을 형성한다고 설명해요. 그의 철학은 명확한 사고와 포지셔닝으로 상황을 지배하는 것이에요. 습관과 규칙을 통해 삶의 균형을 잡고, 창의력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셰인의 이야기는 어떻게 더 나은 위치를 찾아가는지를 생각하게 해줘요.
리사 손 : 20년 메타인지 전문가, 한국 사회가 쓴 가면을 말하다
리사 손 : 20년 메타인지 전문가, 한국 사회가 쓴 가면을 말하다
모든 가면을 벗을 필요는 없다 모든 가면이 나쁜 건 아니에요. 좋은 가면과 나쁜 가면을 구분하는 건 ‘나의 불안함’이죠. 가면을 쓰고 있을 때 불안하고 스트레스받는다면, 그건 나쁜 불안함이에요. 한국 사회에서 흔히들 말하는 ‘사회적 자아’나 ‘부캐’는 즐거운 가면에 가까워요. 내가 일을 더 잘하기 위한, 퍼포먼스나 마찬가지니까요. 반면, 한국에서 유행하는 MBTI는 메타인지와 거리가 멀어요. 사람을 ‘타고났다’는 프레임에 가두는 전형적인 행위잖아요. 메타인지는 컨트롤할 수 있어야 해요. 상황에 따라서 가면을 바꿔 쓰는 거예요. 어느 ...
댄 에리얼리 : “돈 문제, 고통스럽나요?” 행동경제학자의 조언
댄 에리얼리 : “돈 문제, 고통스럽나요?” 행동경제학자의 조언
행동경제학자 댄 에리얼리는 한국인의 새해 소원 1위인 '경제적 여유'를 주제로, 돈이라는 도구가 인류 역사에 비교적 최근에 등장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여전히 돈을 다루는 데 서툴다는 이유를 설명해줘요. 그는 완벽한 합리적 선택을 추구하기보다 중요한 선택에서 이성을 지키는 법, 즉 소비의 장벽을 높이고 저축의 장벽을 낮추는 전략을 제안해요. '자기 자신에게 투자하라'는 이야기는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에 관한 것이에요. 댄은 고통을 줄이기 위해 삶에 긍정적 태도와 회복탄력성을 기르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